본문 바로가기

독서2

의사소통장애 언어장애 Language Disorder A. 언어에 대한 이해 또는 생성의 결함으로 인해 언어 양식(즉, 말, 글, 수화, 또는 기타)의 습득과 사용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 1. 어휘(단어에 대한 지식과 사용) 감소 2. 문장 구조(문법이나 형태론적 법칙을 기초로 단어와 어미를 배치하여 문장을 만드는 능력)의 제한 3. 담화(주제나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거나 기술하고 대화를 나누기 위해 어휘를 사용하고 문장을 연결하는 능력)의 손상 B. 언어 능력이 연령에 기대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그리고 정량적으로 낮으며, 이로 인해 개별적으로나 어떤 조합에서나 효율적인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학업적 성취 또는 직업적 수행의 기능적 제한을 야기한다. C. 증상의 발병은 초기 발달 시기에 .. 2022. 4. 20.
신경발달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 진단기준 지적장애는 발달 시기에 시작된다. 개념, 사회, 실행 영역에서 지적기능과 적응 기능 모두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3가지 진단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A. 임상적 평가와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된 지능 검사로 확인된 지적 기능(추론, 문제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학업, 경험학습)의 결함. B. 적응 기능의 결함으로 인해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 의식에 필요한 발달학적·사회문화적 표준을 충족 하지 못한다. C. 지적결함과 적응 기능의 결함은 발달 시기 동안에 시작된다. 지적장애의 심각도 수준 지적장애의 심각도 수준은 경도, 중도, 고도, 최고도로 나뉜다. 심각도 개념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실행적 영역 경도 학령전기 아동: 개.. 2022.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