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실증주의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이론의 재검증 ② 객관적 조사
③ 사회현상의 주관적 의미에 대한 해석 ④ 보편적이고 적용가능한 통계적 분석도구
⑤ 연구결과의 일반화
---------------------------------------------------------------------------------------------------------------------------------
사회과학의 3대 주류 패러다임인 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적 사회과학의 차이에 대해 묻는 문제이다.
실증주의는 자연과학과 같은 방법으로 사회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고 본다.
사회현상은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질서와 규칙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며,
사회현상을 일으키는 일정한 법칙이나 규칙을 찾고자 한다.
대규모의 표본에 대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고, 연구절차에 있어 정해놓은 바를 엄격하게 준수하며
자료를 수집할 때 최대한의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한다.
통제된 실험 . 표준화된 척도를 사용한 엄격한 측정, 양적 자료의 수집과 통계분석 등을 선호한다.
즉, 이와 가장 관련이 없는 특징을 고르면 된다.
③ 사회현상의 주관적 의미에 대한 해석
은 행위자의 행동 깊이 숨겨진 의미를 찾는 데 초점을 둔 해석주의에 더 가깝다.
객관성과 일반화에 중점을 둔 실증주의와 달리 해석주의는 인간의 주관성을 중요시하며,
질적 연구방법을 주로 활용한다.
정답: ③
---------------------------------------------------------------------------------------------------------------------------------
'자격증 > 사회복지사 1급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0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조사론 문제풀이 (31번) (0) | 2022.04.23 |
---|---|
제 20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조사론 문제풀이 (30번) (0) | 2022.04.23 |
제 20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조사론 문제풀이 (29번) (0) | 2022.04.23 |
제 20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조사론 문제풀이 (27번) (0) | 2022.04.07 |
제 20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조사론 문제풀이 (26번) (0) | 2022.03.26 |